도커를 사용하여 클라우드에 젠킨스 설치 (AWS)
AWS 인스턴스 안에서 도커설치
이 방법은 AWS, Azure, GCP등 기본적으로 가상 머신을 제공할 수 있는 모든 클라이언트 공급업체에서 작동한다.
우분투 이미지를 이용해서 가상 인스턴스를 실행한다.
이렇게 vpc를 jenkins 실습용으로 하나 만들고, 퍼블릭 서브넷을 눌러서 할당해준다.퍼블릭 IP 자동할당도 해준다.
우분투 인스턴스 안에서 도커와 젠킨스 설치
wget https://raw.githubusercontent.com/wardviaene/jenkins-course/master/scripts/install_jenkins.sh
bash install_jenkins.sh
순서대로 위 명령을 넣어주면 된다.
그리고 Jenkins installed가 뜨면 설치 성공!
이제 8080이 있는 이 IP 주소를 통해 http://54.89.213.182:8080 젠킨스에 접근할 수 있다.
cat install_jenkins.sh
스크립트 내용을 알아보도록 하자. 스크립트는 도커를 설치하는 몇 가지 커맨드를 포함한다.
sudo apt-get update
sudo apt-get install -y \
apt-transport-https \
ca-certificates \
curl \
gnupg \
lsb-release
curl -fsSL https://download.docker.com/linux/ubuntu/gpg | sudo gpg --dearmor -o /usr/share/keyrings/docker-archive-keyring.gpg
echo \
"deb [arch=$(dpkg --print-architecture) signed-by=/usr/share/keyrings/docker-archive-keyring.gpg] https://download.docker.com/linux/ubuntu \
$(lsb_release -cs) stable" | sudo tee /etc/apt/sources.list.d/docker.list > /dev/null
sudo apt-get update
sudo apt-get install -y docker-ce docker-ce-cli containerd.io
도커 엔진을 설치하는 기본 커맨드이다.
systemctl enable docker
systemctl start docker
이건 도커를 활성화하여 실행하는 커맨드이다.
usermod -aG docker ubuntu
이건 우분투를 사용하고 우분투 사용자가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 도커 그룹을 우분투 사용자로 추가하는 커맨드이다.
루트 계정을 사용한다면 도커를 바로 사용할 수 있지만 리눅스에서는 루트 계정으로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권장하지 않는다.
따라서 사용자 계정을 쓰는 게 좋다. 현재 루트 관리자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했으니까.
그러니 이 사용자 계정으로 진행한다.
젠킨스 설치
mkdir -p /var/jenkins_home
chown -R 1000:1000 /var/jenkins_home/
다음은 jenkins_home 경로를 생성하고 그 다음은 이 jenkins_home의 소유권을 변경하는 커맨드이다.
1000 부분이 젠킨스가 실행될 ID가 될 것이다.
chown에 대한것은 여기 참고!
https://www.lesstif.com/lpt/linux-chown-93127453.html
linux chown 명령어 사용법
www.lesstif.com
docker run -p 8080:8080 -p 50000:50000 -v /var/jenkins_home:/var/jenkins_home -d --name jenkins jenkins/jenkins:lts
다음은 컨테이너를 실행할 docker run 커맨드이다.
컨테이너 이름은 jenkins인데 도커가 다운로드될 공식 젠킨스 이미지를 기반으로 실행될 것이다.
-v 옵션은 var/jenkins_home이 방금 생성한 var/jenkins_home으로 맵핑된다는 의미다.
젠킨스가 설치됐다는 메시지가 보이고, 표시된 URL에서 젠킨스가 접속 되야한다!
하지만 주소창에 입력하면 무한로딩이다 ㅜ 왜 이럴까?
보안그룹 수정을 안했다. 이렇게 보안그룹에서 8080포트를 열어서 오픈해주자~
그리고 다시 새로고침을 하면! 젠킨스 시작 화면 표시가 된다! 하지만 비밀번호를 모른다.
하지만 확인할 경로를 알려준다! 그래서 저 경로를 사용하면 된다.
cat /var/jenkins_home/secrets/initialAdminPassword
이 경로에 cat으로 읽으면 Administrator password를 알 수 있다.
그리고 위에 표시된 비밀번호를 입력하면, 설치할 플러그인 선택과 권장 플러그인 선택을 할 수 있는데, 나는 권장 플러그인을 설치할 것이다.
그러면 젠킨스가 표준 플러그인 번들을 설치한다.
설치가 되면 관리자 계정을 생성해야한다.
계정과 비밀번호 그리고 이름 이메일을 입력한 뒤 Save and Continue를 눌러서 넘어간다.
그러면 이제 젠킨스가 사용준비 완료 되었단다!
Start using Jenkins를 눌러서 대시보드로 들어갈 수 있다.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