디렉토리
리눅스 디렉토리 구조 정리
트리모양
디렉토리들의 구분 기준은 명령어의 종류, 성격, 사용 권한 등이 있음.
출처 : https://coding-factory.tistory.com/499
디렉토리 특징
/ : 최상위 디렉토리인 루트 디렉토리, 일반 데이터 저장 x
+) /root랑 다르다
/bin : 기본 명령어들이 있는 디렉토리
/boot : 리눅스 부트로더 저장, /etc/lilo.conf에서 지정한 커널 부팅 이미지 파일들 위치
/dev : 시스템 장치 파일 저장, 연결된 장치들 정보 볼 수 있음.
-리눅스는 다 파일로 만들어져있다.
파일로 장치를 관리한다 /dev(디바이스) /proc(프로세스)가 실제 파일이 아님에도 파일로 존재함.
/bin : 기본적인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 저장 디렉토리
/dev : 장치파일
/root : root사용자를 위한 홈 디렉토리
/etc : 시스템의 거의 대부분의 설정 파일들
/usr : 일반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응용 프로그램이나 파일이 들어간 2차 디렉토리
/home :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, ~$로 시작할때 ~의 의미 +) $는 user, #은 root 상태
/run : 실행파일
/lib : 커널 모듈 파일, 라이브러리 파일.
/media : usb같은 탈부착 가능한 장치들의 마운트 포인트가 되는 저장소
/sbin: root만 접근할 수 있는 루트 명령어 모음 디렉토리
bin 에서는 필수 유저 커맨드, cat. sbin 에서는 시스템 관리용 reboot,
/usr/sbin 은 필수적이지 않은 시스템 관리, /usr/bin 은 gcc 같은 필수는 아닌 유저커맨드
/var : 시스템 운용중에 생성되고 삭제되는 가변적 동적파일 (로그) 파일 저장 디렉토리
/opt : 추가 sw 설치할 때 사용
/proc : 커널과 프로세스 정보를 위한 가상파일 시스템
추가 참고 링크
Meaning of "b" and "c" in file privileges description (output of ls -l)
Basic question regarding the ls utility. What do letters b and c mean at the beginning of the 10-symbol code describing the items' privileges? From what I understand, when typing ls -l, the terminal
askubuntu.com
댓글